
안녕하세요 정보의문 입니다.오늘 배워볼 내용은 BPS(주당 순자산가치)입니다.

재무제표 공부
BPS란?
BPS는 주당 순자산가치라는 말 그대로 한 주당 얼마만큼의 자산가치가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공식 또한 매우 간단합니다.
기업의 총자산 - 기업의 총부채 = 기업의 순자산
기업의 순자산 / 기업의 총 주식수

기업이 순수하게 가지고 있는 자산을 구하려면 재산에서 빚을 빼면 되겠죠?
예를 들면 재산이 3억(순자산)인 사람이 2억의 대출(총부채)을 받아서 시가 5억 아파트(기업의 총자산)를 구매했다면
5억 아파트에 살고는 있으나 대출금 2억을 제하고 나게 되면 순자산은 3억이 되겠죠?
이 순 자산을 기업의 총 주식수로 나누게 되면 기업의 자산이 비례한 주가의 순수한 가치가 나오게 됩니다.

다음은 삼성전자의 요약 재무제표인데요.
삼성전자의 총자산은 375,788,742 - 총부채는 99,652,554 = 순자산(자본총계)은 276,136,188입니다.
단위는 백만 원 단위이므로 약 375조 - 99조 = 276조로 순자산은 대략 276조 1361억 정도가 됩니다.

다음은 삼성전자 주식의 총수인데요.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친 총주식의 수는 6,792,669,250개입니다.

따라서 공식에 대입하게 되면
276,136,188,000,000(원) / 6,792,669,250(개) = 약 40,652원이 나오게 됩니다.
BPS가 중요한 이유

BPS가 높다면 그만큼 순자산이 높고 재무가 건실하다는 뜻이며 차후 PBR(주가 순자산비율)을 계산하는 공식에도 사용됩니다.
다만 주의해야 할 부분은 주가의 총자산, 총부채 등의 단순 수치화의 문제점인데요.
기업의 자본은 현금화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재고자산, 부동산 등의 즉각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까지 포함된 금액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BPS만 보면 안 되며,
기업의 매출이나 영업이익은 꾸준한지, 기업의 자산과 부채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 등을 따져보면서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삼성전자의 9/2 기준 주가는 57,500원이며, BPS는 48,666원입니다. 이런 자산현황이 중요한 이유는 기업이 망했을 때 자산을 처분해서 일부분이라도 배당 형식으로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BPS가 너무 낮고 매출이나 전망이 불안한 회사는 가급적 투자를 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BPS가 건실한 회사는 기업가치 대비하여 자산이 얼만큼 많이 있는지 잘 나타내 주기 때문에 BPS가 말도 안 되게 낮은 회사를 주의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공부 > 재무제표 보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 법 8. PBR(주가 순자산비율) (0) | 2022.10.14 |
---|---|
재무제표 보는 법 6. PER(주가수익비율) (2) | 2022.09.05 |
재무제표 보는 법 5. EPS(주당순이익) (0) | 2022.09.01 |
재무제표 보는 법 4. 부채, 당좌, 유보율 (0) | 2022.08.31 |
재무제표 보는 법 3. 이익률 계산 (영업이익, 순이익, ROE)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