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량주3

재무제표 보는 법 7. BPS(주당 순자산가치) 안녕하세요 정보의문 입니다.오늘 배워볼 내용은 BPS(주당 순자산가치)입니다. 재무제표 공부 BPS란? BPS는 주당 순자산가치라는 말 그대로 한 주당 얼마만큼의 자산가치가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공식 또한 매우 간단합니다. 기업의 총자산 - 기업의 총부채 = 기업의 순자산 기업의 순자산 / 기업의 총 주식수 기업이 순수하게 가지고 있는 자산을 구하려면 재산에서 빚을 빼면 되겠죠? 예를 들면 재산이 3억(순자산)인 사람이 2억의 대출(총부채)을 받아서 시가 5억 아파트(기업의 총자산)를 구매했다면 5억 아파트에 살고는 있으나 대출금 2억을 제하고 나게 되면 순자산은 3억이 되겠죠? 이 순 자산을 기업의 총 주식수로 나누게 되면 기업의 자산이 비례한 주가의 순수한 가치가 나오게 됩니다. 다음은 삼성전.. 2022. 9. 8.
재무제표 보는 법 6. PER(주가수익비율) 안녕하세요 정보의문 입니다. 오늘 배워볼 내용은 PER(주가수익비율)입니다. PER만 알아도 회사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PER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PER(주가수익비율이란) PER은 주가/EPS(주당순이익)을 해주시면 되는데요. 삼성전자의 9/2 기준 주가는 57,500원 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 EPS는 6,593원입니다. 57,500/6,593 = 8.72137... PER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계산하여 8.7배가 됩니다. PER은 회사의 시총, 사업, 미래 전망 다 필요 없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주가로 생각하면 어려우니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주가 x 기업의 주식 발행 수 = 기업의 시가총액 2. EPS(주당순이익) x 기업의 .. 2022. 9. 5.
재무제표 보는 법 5. EPS(주당순이익) 안녕하세요 정보의문 입니다. 오늘 배워볼 내용은EPS(주당순이익)입니다. 기업의 EPS(주당순이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EPS란? 먼저 EPS는 기업이 한 주당 벌어들인 순이익을 뜻합니다. 위 이미지는 EPS를 계산하기 위한 이미지이며 삼성전자의 유통주식수를 보여주는 표인데요. 계산식도 간단합니다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총 주식 보유수로 나누면 EPS가 나오게 됩니다. 당기순이익 ÷ 기업의 총 주식수 = EPS 삼성전자의 20년 예상 당기순이익은 27조 5,506억이며 우선주를 합한 유통주식수는 67억 9,266만 9,250개가 되겠습니다. 27,550,600,000,000(원) ÷ 6,792,669,250(개) = 약 4,056원입니다. 네이버 증권을 통한 EPS는 4,021원으로 뜨는.. 2022. 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