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의문 입니다.
오늘 배워볼 내용은 기업의 부채, 당좌, 유보율입니다.

기업의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이 무엇인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부채비율
첫 번째로 부채비율(%)이란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얼마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뜻하며
부채비율(%) = [타인자본(부채총계) / 자기 자본(자본총계)] × 100(%)의 공식을 대입하면 됩니다.

왼쪽에 자료가 17년의 자본과 부채비율인데요.
공식을 그대로 대입해보면
부채총계인 87,260,662, 자본총계인 214,491,428를 공식에 대입했을 때
87,260,662 / 214,491,428 * 100% = 40.68% 이 나옵니다.
네이버 증권의 17년 말 부채비율을 보면 40.68%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채비율이 높다는 것은 보유 중인 자본에 빚이 많다는 뜻으로
살고 있는 아파트의 집값이 10억이라고 했을 때 은행빚이 3억 일 경우 3 / 10 * 100(%) = 30%
부채비율이 30%가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일수록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당좌비율
두 번째로 당좌비율(%)은 단기간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의 비율을 의미하며,
당좌비율(%) = (당좌자산÷유동부채) * 100% 의 공식을 대입하면 됩니다.
당좌비율 계산을 위해 알아야 할 것이 유동자산인데 유동자산은 1. 당좌자산과 2. 재고자산으로 나뉩니다.
여기서 당좌자산의 값을 구하려면 유동자산 - 재고자산으로 당좌자산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무슨 말인지 모르시겠죠??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하고,
2. 당좌자산은 - 판매과정 없이 용이하게 즉각적으로 현금화되는 자산을 의미하며 (현금, 예금, 유가증권, 외상매출금)
3. 재고자산은 - 판매 자산으로(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저장품)등이 있고, 아직 팔리지 않은 말 그대로 재고자산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즉각적으로 현금화가 가능한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누게 되면 단기간에 현금화가 가능한 당좌비율이
계산되게 됩니다.

보게 되면 삼성전자의 당좌자산은 유동자산 146,982,464에서 재고자산 24,983,355를 뺀 121,999,109가 됩니다.
이 당좌자산 121,999,109를 유동부채인 67,175,114로 나누어 * 100%를 할 경우 약 181.61%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네이버 증권 17년도 당좌비율을 보면 181.61%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당좌비율이 높다는 것은 유동적인 부채 즉 '빚'에 대한 대처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뜻으로
내가 보유한 현금, 예금 등이 1억 일 때 1년 안에 갚아야 할 외상금, 매입금이 5천만 원이라고 했을 경우
(1 / 0.5) * 100% = 200% 당좌비율은 200%가 되는 것입니다.
유보율
세 번째로 유보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자본을 확보 중인지에 대한 지표를 의미하며
유보율(%) = [기업 잉여금(이익잉여금 + 자본잉여금) / 납입자본금] * 100%의 공식을 대입하면 됩니다.
삼성전자의 재무제표에 자본잉여금이 없어 제이엔케이히터(126880) 기업으로 대체하여 보겠습니다.

다음은 제이엔케이히터의 자본금에 대한 20년 2분기 재무제표인데요.
자본잉여금 [영업활동이 아닌 특수한 거래(자본거래)에 의해 발생된 잉여금] 78,214,670,136
이익잉여금 (기업의 순자산액이 법정 자본액을 초과하는 부분을 잉여금) 2,631,067,076 을 더한 금액 86,852,238,686을
납입자본금 = (주식수 * 액면가)이나 회사의 자본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자본금인 11,365,266,000
(86,852,238,686/11,365,266,000) * 100을 할 경우 약 764.19%가 나옵니다.

제이엔케이히터의 20년 2분기 유보율과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이 유보율은 회사가 '자본금에 비해 얼마나 많은 잉여금을 모아 두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며,
회사의 자본금이 100억이고 잉여금이 500억이라고 하였을 때
(500 / 100) * 100% = 500% 유보율은 500%가 되는 것입니다.
유보율이 높을수록 불황이 오더라도 잉여금이 많이 때문에 견뎌낼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기업이다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간단하게 회사가 돈을 얼마나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총정리
이처럼 부채나 당좌 유보율 같은 재무제표를 볼 수 있어야 이 기업이 빚이 많은 기업인지. 현금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는 기업인지 등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내가 투자할 기업이 위기가 왔을 때 버텨낼 수 있는 기업인지.
금방이라도 망할 것 같은 기업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됩니다.
재무제표를 공부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종목을 바라보시어 투자하시는 올바른 매매를 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주식 공부 > 재무제표 보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 법 6. PER(주가수익비율) (2) | 2022.09.05 |
---|---|
재무제표 보는 법 5. EPS(주당순이익) (0) | 2022.09.01 |
재무제표 보는 법 3. 이익률 계산 (영업이익, 순이익, ROE) (0) | 2022.08.30 |
재무제표 보는 법 2. 매출과 이익이 무엇인가요? (0) | 2022.08.30 |
재무제표 보는 법 1. 재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