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의문 입니다.
오늘 배워볼 내용은 PER(주가수익비율)입니다.
PER만 알아도 회사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PER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PER(주가수익비율이란)

PER은 주가/EPS(주당순이익)을 해주시면 되는데요.
삼성전자의 9/2 기준 주가는 57,500원 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 EPS는 6,593원입니다.
57,500/6,593 = 8.72137... PER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계산하여 8.7배가 됩니다.

PER은 회사의 시총, 사업, 미래 전망 다 필요 없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주가로 생각하면 어려우니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주가 x 기업의 주식 발행 수 = 기업의 시가총액
2. EPS(주당순이익) x 기업의 주식 발행 수 = 당기순이익입니다.
시가총액은 기업의 가치를 나타내고,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실제로 벌어들인 돈을 의미합니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9/2일 기준 약 343조입니다. 당기순이익은 약 42조이구요.
342조/42조 = 8.16배가 됩니다. 억 단위는 자르고 조 단위만 계산하다 보니 오차가 있지만 이렇게 계산해도 PER을 알 수 있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이 중요한 이유

그래서 PER은 왜 중요한 것일까요?
먼저 주주는 회사의 주인입니다. 주주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돈도 잘 벌고 탄탄한 회사가 좋겠죠?
시총이 1000억인데 매년 벌어들이는 순이익이 1000억이면 PER이 1로 굉장히 좋은 기업입니다. 흔히 저평가 기업이라고 하죠
하지만 시총이 1000억인데 매년 벌어들이는 순이익이 10억이면 PER이 100으로 굉장히 좋지 않은 기업입니다. 흔히 고평가 된 기업이라고 합니다.

물론 PER로만 기업을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미래 전망이 좋은지, 점점 사라지거나 관심이 떨어지는 사업분야가 아닌지, 오너리스크는 있는지, 부채비율은 얼마인지, 영업이익은 좋은지 등을 알아야 좋은 기업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미래 전망이 좋더라도 버는 돈에 비해 기업의 가치가 높은 기업과
미래 전망은 조금 떨어지더라도 당장 버는 돈이 많은 기업
어떤 기업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저라면 PER은 10 이하에 미래 전망도 좋은 탄탄한 기업을 고를 것 같습니다.
PER은 굉장히 중요한 내용입니다. 아무리 미래 전망이 좋은 2차 전지, 반도체 분야라도 PER이 매우 높다면 신중하게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이며, PER 꼭 알고 계셔서 좋은 기업에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공부 > 재무제표 보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 법 8. PBR(주가 순자산비율) (0) | 2022.10.14 |
---|---|
재무제표 보는 법 7. BPS(주당 순자산가치) (0) | 2022.09.08 |
재무제표 보는 법 5. EPS(주당순이익) (0) | 2022.09.01 |
재무제표 보는 법 4. 부채, 당좌, 유보율 (0) | 2022.08.31 |
재무제표 보는 법 3. 이익률 계산 (영업이익, 순이익, ROE)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