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재무제표 보는법

재무제표 보는 법 3. 이익률 계산 (영업이익, 순이익, ROE)

by 다람쥐의쳇바퀴 2022. 8.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보의 문입니다.

오늘 배워볼 내용은 기업의 이익률의 개념과 계산법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개념"이지 계산법이 아닙니다!

네이버 금융에서는 이미 계산된 결괏값을 보여주기 때문에 "개념"을 확실히 알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영업이익률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자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A라는 기업은 굉장한 기술과 제품들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한 분야에서 세계시장도 견줄 수 있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이 A라는 기업이 좋은 기술과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면

과연 A기업은 매출을 낼 수 있을까요?


결국 어떤 기업이든 영업활동을 통해서 매출을 얻게 됩니다.

그래서 기업의 꽃은 영업이라는 말도 있구요.

결국 그 기업이 매출 대비 얼마나 많은 영업으로 돈을 벌었는지
타사 대비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지, 성장성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됩니다.

 

영업이익률 예시

 

[삼성전자의 영입이익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네이버 증권

삼성전자의 20년도 영업이익률은 15.20%입니다.

계산법은 (영업이익 / 총매출) * 100%입니다.

삼성전자는 20년도에 매출 대비 약 15%의 이익률을 냈군요?

글로벌 기업임에도 영업이익으로 얻은 수익이 준수하네요

 

순이익률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자 마찬가지로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B기업은 A기업처럼 높은 기술력이나 좋은 제품이 없기 때문에

판매비용을 매우 낮춰 가격경쟁력으로 승부를 보고 있습니다.

당연히 가격경쟁력으로 승부를 보기 때문에 A기업에 비해 실질적으로 가져가는 돈은 적습니다.


맛있는 김밥을 1000원에 만들어서 3000원에 파는 A기업과

평범한 김밥을 1000원에 만들어서 1500원에 파는 B기업

같은 수량을 팔았을 때 당연히 A기업이 훨씬 많은 순이익을 가져가겠죠?


이처럼 순이익률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기술력이나 제품이 얼마나 경쟁력 있고 수준 높은지 예상을 해볼 수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

순이익률 예시

 

[삼성전자의 순이익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의 20년도 순이익률은 약 11%입니다.

계산법은 (당기순이익/매출) * 100% 이구요

국내 1위 기업답게 재무제표가 매우 좋습니다.

 

 

ROE는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다음은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ROE입니다.

ROE는 자가자본 이익률이라고 하며

기업에 투자된 투자금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ROE를 통해 내가 투자한 회사가 올바른 경영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E가 낮다면 경영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이 되겠죠?

투자의 귀재 워렌버핏도 ROE가 15% 이상 되는 기업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내가 1주에 80,000 원하는 삼성전자 주식을 샀을 때

삼성전자가 80,000원을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든, 투자를 했든 40,000원의 이익을 냈으면 ROE는 50%가 되는 것입니다.

계산법은 (투자금으로 얻은 이익 / 투자금) * 100%입니다.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을 위한 최종 정리

 

 

그래도 잘 모르시겠다구요? 마지막으로 최종 정리를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총매출) * 100%

- 모든 매출의 근본은 영업이다! 영업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쟁력이 있는 것이다.

2. 순이익률 = (영업이익 / 총매출) * 100%

- 기술력이 낮다면 가격을 저렴하게 팔기 때문에 순이익이 낮을 것이다!

3. ROE = (투자금으로 얻은 이익 / 투자금) * 100%

- 투자금을 잘 활용하여 수익을 내는 기업이 당연히 경영을 잘하는 기업이다!

 

이익률이 과연 그 회사에 어떤 점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잘 확인하시고 그런 점을 유의하여 투자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이며 다음번에도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