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정보의 문입니다.
오늘은 거래량을 보고 세력의 흔적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식이 급등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대선 테마주의 급등 이유를 보면
[○○회사의 대표가 ○○○대선 후보자의 대학 동문]
[○○○대선 후보자의 아버님이 ○○회사의 이사]
이런 형태를 보입니다.
과연 주식 매매를 하는 개인들이 이런 것들을 알고 매매를 할까요??

주식을 급등시키는 것은 개인이 아닌 바로 세력입니다.
세력은 주가를 올리기 위해 주식을 매집하는데
차트를 통해 이런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하나 보겠습니다.

위 차트는 이재명 대선테마로 알려진 카스입니다.
세력이 매집하는 흔적을 순서대로 보겠습니다.
1. 주식을 매집한다.
먼저 거래량을 터트립니다.
1월 15일 거래량이 4300만까지 터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후에 거래량이 줄며 조금씩 하락하며 횡보구간을 가집니다.
전 저점 2,135원에서도 확실히 지지를 해주는 것이 확인되시죠?
2. 떨어진 가격에 추가 매집을 한다.
2번을 보시면 주가가 떨어지고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자
다시 매집을 하는 모습이 보이시죠?
3. 매집 끝낸 후 주가 급등
3번을 보시면 매집이 끝난 후 거래량이 터지면서 세력매집 이후
주가가 250% 이상 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자 그렇다면 다음으로 조금 더 자세히 차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다음은 5월부터 현재까지의 카스 차트인데요
위 내용을 자세히 보셨다면 뭔가 느끼셨을 겁니다.
1번에서 거래량을 주면서 주가를 올렸는데
횡보구간을 거치며 다시 2번에서 매집을 거칩니다.
신기한 내용 하나를 더 알려드릴까요??
캔들 하나하나를 보게 되면 위에 얇은 꼬리 비슷한 것이 있죠?
나중에 캔들에 대해 알려드리겠지만
윗꼬리를 달고 내려왔다는 내용입니다.
저 꼬리길이만큼 고점에 물린 사람이 많다는 건데요.

저런 패턴이 보여지는 것에 두 가지 추측을 해볼 수 있습니다.
1. 세력이 고점에서 매집해 놓은 주식을 조금씩 매도하는 중이다.
2. 세력이 저렴한 가격에서 추가 매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주가를 누르고 있다.
보통이라면!
1번의 패턴이 더 가능성이 있으나
2번 거래량이 터진 후 거래량이 줄며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추가 매집을 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내용 하나 더!

만약에 3번 구간에서 거래량이 줄며 횡보하는 것이 아닌
어느 정도 거래량이 실린 장대음봉이 나온다면??
세력이 매집해 온 주식을 매도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장대음봉이라도 이동평균선을 보고
흔히 말하는 개미털기 패턴인지 매집한 주식 매도 패턴인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만간 이동평균선에 대한 내용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